더 큰 데이터를 위해 ER 모델을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설계할 때 많은 복잡성이 발생하므로 복잡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ER 모델에는 일반화 전문화 및 집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데이터 추상화에 사용되었습니다. 추상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개체 집합의 세부 정보를 숨깁니다.
일반화
일반화는 엔터티 집합에서 공통 속성을 추출하고 그로부터 일반화된 엔터티를 만드는 프로세스입니다. 이는 둘 이상의 엔터티가 공통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더 높은 수준의 엔터티로 일반화될 수 있는 상향식 접근 방식입니다.
일반화 예: STUDENT 및 FACULTY는 아래 다이어그램에 표시된 것처럼 PERSON이라는 상위 수준 엔터티로 일반화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P_NAME 및 P_ADD와 같은 공통 속성은 더 높은 속성의 일부가 됩니다. 실재 (PERSON) 및 전문 속성 S_FEE와 같이 특수 엔터티(STUDENT)의 일부가 됩니다.
전문화
전문화에서 엔터티는 그 특성에 따라 하위 엔터티로 구분됩니다. 상위 개체가 둘 이상의 하위 개체로 전문화되는 하향식 접근 방식입니다. 엔터티 .
전문화 예: 직원 관리 시스템의 EMPLOYEE 엔터티는 DEVELOPER TESTER 등으로 특수화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E_NAME E_SAL 등과 같은 공통 속성은 상위 엔터티(EMPLOYEE)의 일부가 되고 TES_TYPE과 같은 특수 속성은 특수 엔터티(TESTER)의 일부가 됩니다.
계승
일반화와 전문화의 중요한 특징이다. 전문화에서 상위 수준 엔터티는 해당 속성을 상속하는 하위 수준 하위 엔터티로 나뉩니다. 일반화에서는 유사한 하위 수준 엔터티가 공통 속성을 보유하는 상위 수준 엔터티로 결합됩니다. 두 경우 모두 상속을 통해 하위 엔터티가 상위 엔터티의 속성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속성 상속: 낮은 수준의 엔터티가 더 높은 수준의 엔터티의 속성을 상속받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합니다. 다이어그램에서 Car 엔터티는 Vehicle 엔터티의 상속이므로 Car는 Vehicle의 속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 자동차는 차량의 모델 속성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 관계 상속 : 하위 엔터티도 상위 엔터티의 관계를 상속합니다.
- 상속 재정의 : 하위 엔터티는 상위 엔터티와 다른 자체 속성이나 동작을 재정의하거나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참여 상속: ER 모델링에서 참여 상속은 상위 레벨 엔터티(슈퍼클래스)에서 하위 레벨 엔터티(하위 클래스)로 참여 제약 조건을 상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속성과 관계 자체가 다르게 상속되더라도 하위 클래스가 관계에서 동일한 참여 규칙을 준수하도록 보장합니다.
관계의 예 예: 다이어그램에서 Vehicle 엔터티는 Cycle 엔터티와 관계가 있지만 Vehicle 엔터티와의 관계 자체를 자동으로 획득하지는 않습니다. 참여 상속은 엔터티 간의 실제 관계가 아닌 참여 제약의 상속만을 의미합니다.
집합
- ER 다이어그램은 엔터티와 일부 시나리오에서 필요할 수 있는 관계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없습니다.
- 이러한 경우 해당 엔터티와의 관계는 더 높은 수준의 엔터티로 집계됩니다.
- 집계는 관계를 상위 수준 엔터티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추상화입니다.
집합 예: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직원에게는 일부 기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WORKS_FOR 관계와 MACHINERY 엔터티 사이에 REQUIRE 관계가 필요합니다. 집계 사용 WORKS_FOR 관계와 해당 엔터티 EMPLOYEE 및 PROJECT는 단일 엔터티로 집계되고 REQUIRE 관계는 집계 엔터티와 MACHINERY 간에 생성됩니다.
스키마를 통해 집계 표현
관계형 스키마에서 집계를 나타내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집계된 관계에 대한 스키마 생성
- 이는 엔터티 집합처럼 처리됩니다.
- 여기에는 기본 관계에 참여하는 엔터티의 기본 키가 포함됩니다.
- 또한 기본 관계에 대한 설명 속성도 포함됩니다.
2. 상위 수준 관계에 대한 스키마 생성(집계)
- 이 스키마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집계된 관계 스키마의 기본 키.
- 관련된 연관된 엔터티의 기본 키입니다.
- 이 상위 수준 관계에 대한 추가 설명 속성입니다.